https://spri.kr/posts/view/23226?code=research
■ 연구진
기획
서정연(서강대학교), 박현제(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김두현(건국대학교), 김재현(성균관대학교), 김한일(제주대학교), 김현철(고려대학교), 나연묵(단국대학교), 신용태(숭실대학교), 심규석(서울대학교), 유정수(전주교육대학교), 이재호(경인교육대학교), 이현숙(한국과학창의재단), 진회승(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집필
김한성(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강신천(공주대학교), 김수환(총신대학교), 신승기(서울교육대학교), 윤일규(한국과학창의재단), 김종범(한국과학창의재단), 서영희(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목차
1. 배경 - 왜 정보 교육이 중요한가?
2. 해외 주요국은 어떻게 가르치고 있나?
3. 우리나라는 어떻게 가르치고 있나?
4. 정보 교육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원의 생각은?
5. 모든 아이를 위한 정보 교육 개선 방안
[부록] 정보 교육!, 질의응답(Q & A)
■ 요약문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모든 아이를 위한 5대 권고문
배경 및 목적
- 본 보고서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길러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우리 정부의 역할과 교육적 개선 방안을 제안함 -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분석과 관련 학회, 유관기관 전문가들과의 숙의 과정을 거쳐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이 5가지 주요 권고문을 도출하였음
<5대 권고문>
1. 미래역량
미래 사회를 살아갈 아이들을 위해 디지털리터러시와 컴퓨팅사고력 강화 방안이 초·중등교육을 위한 미래 인재상, 핵심역량,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사항에 포함되어야 함 - 미래는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중심의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되고 있으며, 디지털로 세상을 바라보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능력이 요구됨 - 이러한 능력을 ‘디지털리터리시’라고 하며, 디지털리터러시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활용 교육과 컴퓨팅파워를 활용한 문제해결력 즉, 컴퓨팅사고력 교육이 균형 있게 다루어져야 함
2. 교육과정
디지털리터러시와 컴퓨팅사고력 강화를 위해서는 초·중등 정보 교육과정의 완전한 독립·필수화 및 수업 시수 확대를 해야 함 - 디지털리터러시와 컴퓨팅사고력 교육을 담당하는 초중등 정보 교육은 초등학교 17시간, 중학교 34시간으로 매우 적은 시수로 인해 ‘교육 내용의 체계성과 연계성 결여’, ‘교육 기회의 격차’, ‘정보 교사 번아웃’ 등 학교 현장의 주요 문제를 일으키며 온전한 정보 교육이 실행되기 위한 큰 걸림돌이 되고 있음 - 이에, 본 보고서는 초·중등학교의 정상적인 정보 교육을 위해서는 최소한 초등학교 정보 교과의 독립·필수 68시간(3~4학년 군), 중학교 독립·필수 136시간, 고등학교 독립·필수 64시간(4학점)이 필요함을 제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