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사] SW교육 시간 미국의 1/8..."수업일수 확대해야"


[앵커]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본 언어인 코딩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지만, 정작 학교에선 수업 일수가 턱없이 부족합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선진국의 1/8 수준에 불과해, 정보 교육 수업 시간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소라 기자입니다.


[기자]

붉은 암석을 카메라에 비추자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암석 종류를 판별합니다.


"암석을 화면에 비춰주세요. 이 암석은 셰일입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방과 후 수업에서 자체적으로 알고리즘을 개발했습니다.

[이승훈 / 백신중 1학년 : 코딩이나 AI 쪽에 관심 있어서 신청했는데, 많이 배우고는 싶은데 배울 곳이 많이 없어서]


학생들이 방과 후 수업에서 소프트웨어를 공부하는 건, 학교 정보교육 수업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학생이 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받는 정보교육 수업 시간은 평균 51시간입니다.

미국의 8분의 1도 채 안 되고, 일본과 영국의 7분의 1에 불과합니다.


중학교의 경우 1주일에 1시간, 3년 가운데 1년만 진행하고, 초등학교는 한 학기에 불과합니다.

[정웅열 / 백신중 교사 : 제대로 된 걸 배우기도 전에 수업이 그냥 끝나버리고, 사고력을 기르고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인데 그런 것을 기대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 수업 일수가 선진국보다 크게 떨어져, 교육 내용이 부실해질 우려도 크다는 지적입니다.

전문가들은 정보 교육을 국어와 영어, 수학와 같은 필수 과목에 포함하고, 수업 시간도 대폭 늘려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서정연 / 서강대 교수 (정보교육확대추진단) : 굉장히 중요한 건 초3·4학년부터 해야 해요. 최소한 초3부터 고1까지 8년 동안은 최소한 일주일에 한 시간씩 정규 교육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거예요.]


특히 내년엔 지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초·중·고 교육과정을 개정합니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다음 개정은 언제일지 기약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정보 교육 개정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Commenting on this post isn't available anymore. Contact the site owner for more info.
bottom of page